본문 바로가기
정책정보

경기도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 최대 30만원 간병비 지원받으세요!

by 마음서랍 2025. 5. 2.

경기도는 2025년부터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 지원’ 제도를 본격 시행합니다. 치매 환자 가족에게 실질적인 휴식과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이 정책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

치매가족돌봄 썸네일


✅ 정책 개요

  •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 부득이한 외출, 출타, 혹은 장기간 돌봄에 지쳐 휴식이 필요할 때, 치매 환자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기존 정부의 장기요양가족휴가제(1년에 10일 방문요양서비스 또는 단기보호시설 할인)보다 한 단계 진화한 경기도만의 지원책입니다.

✅ 지원 내용

구분 지원내용 지원한도
도립노인전문병원 단기입원 간병비 지원(1일 3만원) 연 10일, 최대 30만원
방문요양/단기보호시설 본인부담금 지원(1일 2만원) 연 10일, 최대 20만원

 

  • 도립노인전문병원 이용 시, 입원비는 가족이 부담하고, 간병비만 지원됩니다.
  • 도내 6개 경기도립노인전문병원(남양주, 동두천, 시흥, 여주, 용인, 평택)에서 단기입원이 가능합니다.
  • 방문요양서비스나 단기보호시설 이용 시에도 본인부담금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경기도립노인전문병원에서 제공하는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

  • 작업치료 : 일상생활 동작 훈련, 소근육 활동 등으로 신체 기능과 인지 능력 향상을 돕습니다.
  • 인지치료 : 기억력, 주의력, 문제해결력 등 인지 기능을 자극하는 활동이 포함됩니다.
  • 미술요법 : 그림 그리기, 색칠하기 등 미술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자기 표현을 유도합니다.
  • 공예요법 : 다양한 공예 활동을 통해 손의 소근육을 사용하고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원예요법 : 식물 심기, 흙 만지기 등 원예 활동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정서적 만족을 제공합니다.
  • 회상요법 : 과거의 경험을 떠올리고 이야기하는 활동으로, 정체성 유지와 사회적 교류를 촉진합니다.
  • 인지재활 프로그램 : 맞춤형 인지 훈련과 비약물적 개입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기능 회복을 지원합니다.

이 외에도 병원별로 다양한 창의적, 예술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주기적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은 치매 환자의 증상 완화와 가족의 돌봄 부담 경감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 지원 대상 및 조건

  • 치매 환자 또는 가족 중 한 명 이상이 경기도에 거주해야 합니다.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 환자 및 가족이 대상입니다.
  • 장기요양 등급 미신청자도 지원 가능하고,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환자라면 방문요양/단기보호시설 지원도 가능합니다.

✅ 신청 방법

  • 온라인 : 경기민원24
  • 방문 : 주민등록상 주소의 읍·면·동 주민센터(사업 시행 시군)
  • 전화 : 경기도 긴급복지 콜센터(☎️ 031-120, 010-4419-7722)
  • 치매안심센터 방문 및 사전 신청 후, 서비스 이용 및 관련 서류 제출
 

경기민원24

다양한 신청 서비스 등 경기도민 대상 행정서비스 제공

gg24.gg.go.kr

✅ 참고 및 문의

  • 경기도광역치매센터(☎️ 031-271-7021)
  • 각 시군 치매안심센터
 

경기도광역치매센터

치매 원인, 증상, 예방법 등 안내, 상담 제공

gyeonggi.nid.or.kr



2025년 경기도 치매가족돌봄 안심휴가 지원정책은 치매 환자 가족의 휴식과 돌봄의 질을 모두 챙기는 전국 최초의 시도입니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이라면 꼭 한 번 신청해보시고, 소중한 휴식의 기회를 누리시기 바랍니다!

 

 

2025.04.24 - [정책정보] - 2025년 노령기초연금 수급자격 신청하는 방법 | 월 최대 342,520원!

2025.04.22 - [정책정보] - 경기도 만6세~만65세미만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서비스

2025.04.15 - [정책정보] -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든든한 노란우산공제 우체국 이벤트!

2025.04.12 - [정책정보] -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자격과 온라인에서 신청하는 방법

2025.04.03 - [정책정보] -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혜택 및 사용처, 소득공제 최대 40%